전략&통계

공지

[통계] 지자체 공모전에선 무얼 모집할까?

통합 관리자

2025.04.14

조회수 21766

[씽굿공모전 통계] 지자체는 무엇을 어떻게 공모하고 있을까요? 씽굿은 202511일부터 414일까지 씽굿사이트에 등록된 공모전 716건 중 전국 시···구에서 개최하는 지방자치단체 공모전 144건 분석해보았습니다. _이동조 전문기자

 

#. 공모 분야 조사, ‘기획 아이디어부문이 71%

 

최근 진행된 144건의 공모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접한 분야는 단연 기획/아이디어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공모전(복수 응답) 70.8%에 해당하는 102건이 기획 또는 아이디어 발굴을 주요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창의적 발상과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기획력 중심의 공모전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사회적 문제 해결, 정책 제안, 신사업 아이디어 수집 등을 위해 기획형 공모를 적극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기획 분야 다음으로는 디자인’(34.7%), ‘네이밍/슬로건’(27.1%), ‘문학/수기’(23.6%), ‘미술’(22.2%) 등의 분야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들 분야는 지자체 홍보에 활용하기 쉽고, 누구나 도전할 수 있기에 청년층과 일반인 참가자가 꾸준히 참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사진(10.4%), 영상/UCC(9.0%), 취업/창업(6.3%) 등 콘텐츠 기반 분야도 일정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영상과 UCC 분야는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 소비가 일상화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반면 논문’(0.7%), ‘해외’(0.7%), ‘건축’(1.4%) 등은 상대적으로 소수 공모전에서만 다뤄졌으며, 전문성과 고난이도 작업을 요구하는 만큼 참여자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하나의 공모전이 여러 분야를 동시에 다룰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복수 응답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 280개 분야 응답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 지자체 공모전 주제 아이디어’, ‘콘텐츠가장 많아

 

지자체 공모전들의 공모 내용은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유형은 정책 혁신 아이디어부문입니다. 정책 아이디어, 혁신 제안, 데이터 활용 방안 등 행정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제안들이 이 부문에 속합니다. 주민들의 참여로부터 정책의 힌트를 얻겠다는 의도입니다. 특히 청년 창업, 청소년 지원 등 실질적 지원 사업과 연결된 항목도 다수입니다.

 

두 번째는 창의예술 콘텐츠유형입니다. 문학, 글쓰기, 영상, 노래 등 예술적 창작물로 참여하는 공모전이 이에 해당합니다. 지역문화를 홍보하거나 공동체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며, 시민들의 감성과 목소리를 담아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세 번째는 디자인 창작 부문으로, 시각예술 중심의 공모전이 이에 포함됩니다. 캐릭터 디자인, 브랜드 로고, 정원 조형물까지 범위가 다양합니다. 지역 브랜드를 새롭게 구축하거나, 공공시설의 심미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모집하는 방식입니다.

 

네 번째로는 네이밍 & 메시지유형이 눈에 띕니다. 도시나 공공시설의 이름, 사업명, 슬로건 등을 공모하는 항목들입니다. 간결하지만 강력한 메시지를 찾는 이 공모전은 시민들의 언어 감각과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다섯 번째는 지역관광 아이디어분야입니다. 관광기념품 개발, 명소 발굴, 축제 아이디어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모가 이에 해당합니다. 단순한 아이디어 제안을 넘어 실제 정책화 및 상품화 가능성도 고려됩니다.

 

여섯 번째는 유소년 창의공모부문으로 어린이 일기, 표어, 그림 그리기 등 아동과 청소년이 참여하는 공모전들입니다. 자라나는 세대의 시선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바라보게 하고, 조기 시민 교육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공모전입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는 실천형 아이디어 공모로 분류됩니다. 창업 아이디어, 문제 해결형 제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실제 실행력을 중시하는 항목입니다. 이 부문은 단순 아이디어를 넘어 실행계획과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하는 점에서 실용성이 돋보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공모전 내용은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정책 실험의 장이자, 주민 참여의 통로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열린 행정의 흐름 속에서,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제안이 지역을 바꾸는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 시상 규모는 ‘1천만 원 미만62%




 

시상금 1천만 원 미만인 공모전이 전체의 약 62%,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소규모 예산의 기획/아이디어형 공모전이 많음을 보여줍니다.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의 중간 규모 공모전은 약 9% 수준으로, 비교적 드문 편이었습니다.

1억 원 이상 고액 시상금 공모전은 5(3.5%)으로 확인됐으며, 주로 전국 단위의 대형 프로젝트 혹은 정책 제안형 공모전일 가능성이 큽니다. ‘기타로 표시된 항목(24.3%)은 정확한 시상금 명시가 없거나 상품’, ‘참가자 전원 기념품등 비현금성 보상인 경우로 해석됩니다.

한편, 응시 자격에서 지역() 제한을 두는 공모전 전체 공모전 144건 중 33건으로 약 23%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