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통계

공지

국가행정부 주최 공모전 테마는? “아이디어·데이터·창업”

통합 관리자

2025.07.15

조회수 806

2025 상반기 행정부 공모전 키워드와 트렌드 분석

 

올 상반기(씽굿사이트 등록 11~715) 동안 중앙정부와 행정기관이 주최한 공모전이 250건을 훌쩍 넘어서며, 국민 참여형 정책의 흐름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정책 혁신과 국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공모전을 운영해 왔습니다. 2025년 상반기 정부 주최 공모전 252건을 전수 분석하여 특징과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_ 이동조 전문기자(공모전 코칭 전문가)

 

국민 아이디어, 정책이 되다, 주요 키워드 7가지

 

첫 번째 핵심어는 단연 아이디어였습니다. 정책 제안, 규제 혁신, 생활 속 불편 해소까지, 국민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정책으로 연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다수의 공모전에 반영됐습니다. ‘국민 아이디어 공모제’,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등이 대표적입니다.


두 번째는 데이터입니다.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빅데이터 공모전’, ‘환경데이터 분석 공모전등 이름만 봐도 데이터가 핵심인 공모전들이 쏟아졌습니다. 이는 정부가 축적한 공공데이터를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해 창업 아이디어를 내거나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뒷받침하는 디지털 정부 기조와 맞닿아 있습니다.

 

세 번째 키워드는 창업이었습니다. ‘스타트업 챌린지’,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부터 스마트 농업 창업 경진대회까지, 특히 청년층을 겨냥한 창업 공모전이 두드러졌습니다. 첨단기술과 접목한 창업 아이디어 발굴은 정부가 청년 일자리 해법으로 삼고 있는 주요 전략입니다.


네 번째는 청소년·청년’. 교육부·여성가족부·통일부 등 여러 부처가 청소년 경연대회’, ‘청년 포럼’, ‘학생 창업대회등을 통해 미래세대의 아이디어와 참여를 끌어냈습니다.

특히 기후 위기, 지역문제 해결 같은 굵직한 사회 의제에도 청소년이 직접 목소리를 내는 공모전이 크게 늘었습니다.

 

다섯 번째는 환경·탄소중립’. ‘탄소중립 아이디어 공모전’, ‘기후행동 오픈이노베이션’, ‘환경 데이터 활용 공모전등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발전을 향한 정부 정책이 국민 참여형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여섯 번째는 안전입니다. ‘어린이 안전골든벨’, ‘교통안전문구 공모전’,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대회등 공모전은 안전을 더 이상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닌 일상적 실천 과제로 만들어 갑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키워드는 문화·관광입니다. 지역특화 관광 콘텐츠, 전통문화, 기념품, 여행 영상 공모전 등이 연이어 열리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이미지 홍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분석은 정부 공모전이 국민과 직접 소통하고 정책 파트너로 참여를 이끌어내는 주요 수단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AI·빅데이터·기후위기 대응 등 최근의 핵심 국가 의제가 고스란히 반영되며, 디지털 기술과 창의성을 연결한 새로운 시대의 공모전 문화가 형성되고 있었습니다.


상반기 정부 공모전, 10개 중 8개는 기획·아이디어분야

 

상반기 중앙정부와 행정기관이 주최한 공모전 252건의 공모 분야를 분석한 결과, 정부는 아이디어를 최대 자산으로 삼고 국민의 창의성을 정책으로 연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많은 기획/아이디어형 공모전분야는 전체의 77.8%를 차지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습니다. 생활 속 문제 해결부터 정책 제안, 규제혁신, 미래 먹거리 발굴까지, 정부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아이디어플랫폼으로 공모전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두 번째로 많은 분야는 대회·경연형’(22.2%)이었습니다. 이는 청소년, 청년,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경연대회와 해커톤,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등이 포함됩니다. 경쟁과 협업을 통해 문제 해결 역량을 키우고, 실질적 시제품이나 창업 아이템으로 발전시키는 방식이 많습니다.

 

뒤를 이어 디자인(17.9%)과 영상/UCC(15.9%) 분야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습니다. 포스터, 브랜딩, 홍보 영상 등 국민 참여형 콘텐츠 제작은 정책 홍보뿐 아니라 지역관광, 전통문화, 공공서비스 개선 캠페인까지 폭넓게 활용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취업/창업(13.9%) 분야는 정부 공모전이 청년층과 신산업 지원책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빅데이터, 스마트팜, 탄소중립 등 첨단기술 기반 창업 공모전이 다수였습니다.

 

정부 공모전 분야별 톱5

1: 기획/아이디어 196(77.8%)

2: 대회/경연 56(22.2%)

3: 디자인 45(17.9%)

4: 영상/UCC 40(15.9%)

5: 취업/창업 35(13.9%)

 

정부 공모전, ‘누구나 참여 가능75%청년·청소년 대상 공모도 활발

 

정부 공모전의 응모 자격은 어떤 대상이 많았을까요? ‘제한 없음또는 일반인 누구나로 열린 경우가 전체의 7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정부가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과 국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또한,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공모전은 12%, 미래 연구인재 양성과 청년층의 정책 참여 유도를 위한 분야가 주를 이뤘습니다.


이외에 초··고교생과 청소년만 참여할 수 있는 공모전도 8%에 달해, 어릴 때부터 사회문제 해결과 문화 콘텐츠 기획 등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기업, 특정 지역 주민 등 한정된 대상에게만 문을 연 공모전도 약 4%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지역문제 해결형 공모전이나 기업의 혁신 아이디어 공모 등 특수 목적 공모전에서 주로 활용됐습니다.

 

정부행정부 공모전 참가 자격 현황

1: 제한 없음/일반인 190(75%)

2: 대학생/대학원생 31(12.3%)

3: 어린이~고등학생(청소년) 21(8.3%)

4: 기타(기업/지역/특정 단체 한정 등) 10(4%)

 

국가행정부가 주최하는 이들 공모전은 국민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열린 참여형이 주류를 이루며, 동시에 대학생·청소년 등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한 특화 공모전도 꾸준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도 국민과 기업, 년이 직접 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콘텐츠 공모전이 다양하게 개최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정책과 국민의 아이디어가 만나는 접점이 더 넓어질 계획입니다.

 

 

<2025년 상반기 국가행정부가 주최한 주요 공모전 PICK(1.1~7.15)>

 

농림축산식품부 2025 스마트농업 AI 경진대회

환경부 2025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교육부 2025년 교육부 청렴 실천 표어공모전

교육부 2025 학생 창업유망팀 300+성장트랙 모집

행정안전부 안부전화 하기 슬로건 및 홍보 콘텐츠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 차세대 ICT 여성리더 육성 - ICT·SW 여성 창업공모전

행정안전부 2025 도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국토교통부 2025 스마트건설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고용노동부 2025년 제7K-디지털 트레이닝 해커

국토교통부 2025 국토교통 통합형 서비스 아이디어 모델 발굴 경연대회

외교부 APEC 2025 KOREA 민관대화 청년 발표자 공모전

산업통상자원부 23회 임베디드SW경진대회 퓨처 디자이너 부문

행정안전부 2025 어린이 안전 AI 경진대회

해양수산부 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

해양수산부 2025 해양수산창업콘테스트

고용노동부 6AI·ICT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 오픈소스 개발자대회

외교부 유엔 창설 80주년 기념 공모전

외교부 2025년 외교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환경부 함께 부르자고! 탄소중립 캠페인송 챌린지

보건복지부 2025년 감탄생활체 공모전

여성가족부 2025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관련 청소년 작품공모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 분야 양성평등 인식 제고 콘텐츠 공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