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통계

공지

아이디어 실현 끝판왕! ‘해커톤’ 아시나요?

통합 관리자

2025.09.15

조회수 2746

 올해 씽굿 등록 41건 해커톤 대회 분석 

아이디어나 기획 공모전을 넘어 실전 캠프 형식을 결합한 ‘해커톤’ 대회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씽굿에 등록된 해커톤 대회들을 분석하여 아이디어 실현의 끝판왕, 해커톤의 특징과 트렌드를 정리해봅니다. 
글_이동조 전문기자(공모전 코치)


#. ‘해커톤’이 뭐예요? 

해커톤(hackathon)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입니다. 정해진 짧은 시간 안에 팀을 꾸려 집중적으로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프로토타입(시제품)이나 서비스, 앱,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내는 대회 형식의 행사입니다.
보통 1일에서 길게는 2~3일, 때로는 일주일 정도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기획자·개발자·디자이너 등이 팀을 이루어 특정 주제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과물을 만듭니다.

해커톤의 몇 가지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제한된 기간 안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하므로 몰입도가 높습니다. 둘째, 다양한 전공과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팀워크로 성과를 냅니다. 셋째, 사회적 이슈, 기업의 과제, 신기술 활용 등 특정 주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넷째, 짧은 시간 안에 독창적 아이디어와 기술적 구현을 시도합니다.

최근에는 IT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공공기관, 대학, 스타트업 등이 주최하면서 단순한 앱 개발을 넘어 AI, 데이터 분석, 환경, 교육, 사회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기존 아이디어 발상 캠프와 다른 점은?

기존의 아이디어 캠프가 주로 팀별로 문제를 정의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브레인스토밍한 뒤 발표하는 형식이라면, 해커톤은 그다음 단계까지 나아가 코드로 직접 구현하거나 시제품을 제작해 ‘작동하는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이 필수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해커톤은 발상의 단계에서 실행의 단계까지 단시간 안에 압축적으로 진행하는 실전형 대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차이는 참여자 구성입니다. 아이디어 캠프가 기획자나 학생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면, 해커톤은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등 서로 다른 역할의 사람들이 모여 협업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물은 단순한 구상안이 아니라 실제 구현 가능한 프로토타입으로 나타나며, 이 점이 해커톤의 가장 큰 매력으로 꼽힙니다.


#. 해커톤의 대표적인 진행 절차는?

해커톤은 보통 오리엔테이션 → 팀 빌딩 → 아이디어 기획 → 개발 및 제작 → 멘토링 → 발표 준비 → 최종 발표 및 시상의 절차로 진행됩니다.

보통 오리엔테이션으로 시작하여 참가자들이 서로 교류하며 팀을 구성합니다. 이후 팀원들은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논의하면서 해결할 문제와 구체적인 방향을 정리하고, 간단한 기획안을 마련합니다. 
본격적인 시간에는 개발자와 디자이너, 기획자가 각자의 역할을 맡아 제한된 시간 안에 최소 기능을 갖춘 시제품을 완성하는 데 집중합니다. 중간에는 멘토링이 진행되어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고 아이디어를 보완하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발표 자료와 시연을 준비해 심사위원 앞에서 결과물을 설명합니다. 
최종적으로 심사를 거쳐 우수한 팀이 선정되고, 시상과 후속 지원이 이어지면서 마무리됩니다.


#. 올해 해커톤 개최 현황 분석해 보니!

과거에는 주로 IT 기업이나 대학이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지방자치단체(서울시, 부산시, 춘천시, 전주시, 경상북도, 충청북도 등), 공공기관(과기정통부, 국립재활원, 적십자사, 한국언론진흥재단, 국가도서관위원회 등), 민간기업(퀄컴, MS, 제테마, 일릭서 등), 학계(강원대, 연세대, 영국 켄싱턴대 등)가 모두 개최하고 있습니다. 해커톤이 이제 특정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산‧학‧연‧관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제도 단순히 ‘앱 개발’이나 ‘창업 아이디어’을 넘어 AI, 메타버스, 사이버 보안, 자율주행,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과 같이 세부 산업이나 사회 현안과 연결된 주제로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산업 현장과 연결된 실용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외에도 데이콘, 퀄컴, MS, 과기정통부 주도의 해커톤을 보면, 주제가 대부분 데이터 분석과 AI 활용에 맞춰져 있습니다. 특히 국가도서관위원회의 ‘정책 아이디어 해커톤’, 충청북도의 ‘정책발굴 해커톤’처럼 정책 아이디어를 모으는 수단으로 해커톤을 활용하는 사례가 눈에 띕니다.


#. 주최사들은 어디가 많았을까?

2025년 씽굿에 등록된 해커톤은 특정 단일 기관이 아니라 중소/벤처기업(11), 학교/재단/협회(11), 지방자치단체(10), 진흥원/공공기관(9)이 가장 활발히 주최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해커톤이 산업 현장·학계·지자체·공공 부문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대기업(1), 외국계 기업(1), 언론기관(1)은 상대적으로 적게 참여해 아직은 보조적 역할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 참가 자격과 대상 현황은?

해커톤 참가자 모집 현황(복수 응답)은 ‘대학생’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38건으로 가장 중심적인 대상입니다. 대학원생(34건)과 일반인(29건)도 주요 참여 집단으로 확인됩니다. 청소년층도 적극적으로 포함되며, 고등학생(18건)과 청소년(17건), 중학생(11건), 초등학생(8건), 어린이(7건)까지 연령대가 폭넓게 열려 있습니다.
또한 제한 없음(14건), 지역 제한(5건) 조건이 붙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이는 참가 대상을 열어 두되 주최 목적에 따라 범위를 조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3건)과 기타(10건) 항목도 일부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결국 해커톤은 대학생과 청년층을 핵심으로 하면서도, 중·고등학생에서 일반인, 나아가 기업까지 포괄하는 다층적이고 개방적인 참여 구조를 가진 행사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실전 아이디어, 창업, 비즈니스 전략, 프로젝트 개발 등에 관심이 있다면, 아이디어 실현의 끝판왕, 해커톤에 관심을 갖고 도전해 보세요.


2025년 씽굿공모전 등록 주요 해커톤 개최 현황(41건) 

강원대학교, 창업 AI+X 해커톤(~9/10)
데이콘,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
서울AI재단, 2025 서울 AI 해커톤
전주시 등, 2025 전북·전주 로컬브랜딩 아이디어 해커톤 
춘천시 등, 2025년 춘천시 데이터 활용 해커톤 대회
용인시산업진흥원, 2025 ICT 해커톤 AI Software Play 용인
국립재활원, 2025 제6회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해커톤
전주소통협력센터, 2025 전북·전주 로컬브랜딩 아이디어 해커톤
한국장애인재단, 2025년 장애인 분야 해커톤 대회 (장애 플러스 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제12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커톤 대회
부산광역시·KNN, 제2회 부산글로벌허브 도시 청년 해커톤 대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부산광역시 등, 제3회 네트워크 지능화를 위한 인공지능 해커톤
경기콘텐츠진흥원, 2025 경기 메타버스 해커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25 서울 우먼테크 해커톤 대회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지사, 제6회 전국 대학생 나눔봉사 프로그램 기획 해커톤
한국언론진흥재단, 2025 뉴스빅데이터 해커톤
제테마, 2025 제테마 해커톤
부산광역시, DIVE 2025(제2회 글로벌 데이터 해커톤 대회)
강동구청년해냄센터·어치브모먼트(Blaybus), 2025 블레이버스 MVP 개발 해커톤: 시즌2
대구광역시·구·군 자원봉사센터, 2025 SDGs 시민참여형 자원봉사 해커톤대회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호남IS 해커톤
퀄컴코리아·마이크로소프트코리아, 퀄컴 Edge AI 개발자 해커톤
서울특별시·KT·서울시립대, 수도권 생활 이동 데이터 해커톤
데이콘, 사이버 공격 유형 예측 해커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3회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2025 자율주행 해커톤 (AMET 2025) 경진대회
경상북도·한국한복진흥원, 2025 경상북도 한복창작 해커톤대회
포항시 마이스산업과, ‘2025 전시산업 디지털 융합 해커톤’
영국켄싱턴대학교, 제2회 글로벌 AI 해커톤 & 해외 연수 프로그램
메이드인피플, 2025 Us:Code 해커톤 in 의성
충청북도, 2025 인공지능 융합 정책발굴 해커톤
한국디지털인증협회,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3회 K-해커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2025 DGFEZ 캡스톤 디자인 & 해커톤
데이콘, 기업 성공 확률 예측 해커톤
(사)한국정책학회, 연세대학교, 「Asia Impact 해커톤 공모전」
포항시, 녹색성장 실천 아이디어 해커톤
국가도서관위원회, 2025 미래도서관 정책 아이디어 해커톤대회
데이콘, 부동산 허위매물 분류 해커톤 
일릭서, 빅데이터 분석 자동화 서비스 개발 해커톤
어치브모먼트, 2025 블레이버스 MVP 개발 해커톤